광고 / Ad

[외교부]김미연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 부위원장, 차기 재선 당선

btn_textview.gif

□ 김미연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 부위원장이 2022.6.14.(화) 유엔 본부(미국 뉴욕)에서 실시된 2023-26년 임기 장애인권리위원회(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위원 선거에서 재선되어, 2023년 1월 1일자로 새 임기(4년)를 시작할 예정이다.


  ㅇ 금번 선거에는 9개 공석에 13명이 입후보하여 치열하게 경합하였으나, 후보자 및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 교섭 결과, 김미연 위원은 장애인권리협약 185개 당사국(EU 포함) 중 120개국의 지지표를 확보하여 당선


     ※ 주요 인권협약기구인 장애인권리위원회는 총 18명의 위원(2년마다 9명씩 선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의 국별 보고서 심사 및 협약 이행 권고 담당


  ㅇ 2011년 김형식 당시 한반도국제대학원 교수가 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2011-18년 수임)된 이후, 이번 김미연 위원의 재선 성공으로 우리나라 인사가 4회 연속 진출 달성


□ 지난 2018년 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으로 당선되어 2019-22년간 임기를 수행 중인 김미연 위원은 2021년부터는 한국인 최초로 동 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당사국들의 장애인권리협약 이행 제고를 위해 노력해왔다.


  ㅇ 김 위원은 2006년 장애인권리협약 성안에도 기여하였으며, △세계은행 컨설턴트, △국가인권위원회 정책위원 및 국제인권전문위원을 역임하는 등 장애인인권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인사로 장애 여성 및 여아 권익 향상을 위한 선도적 역할 수행 중


□ 우리 정부는 김미연 위원의 재선을 계기로 장애인 인권 증진을 위한 국내·외 관심을 제고하고 국제사회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해 나갈 것이며, 앞으로도 전문성을 겸비한 우리나라 인사의 유엔 인권메커니즘 진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현재 유엔 인권메커니즘에서 신혜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 위원(2019-22년), 정진성 인종차별철폐위원회 위원(2022-26년), 서창록 시민적·정치적 권리 규약 위원회 위원(2021-24년), 백범석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 위원(2020-23년) 활동 중



붙임 : 김미연 위원 약력.  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