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신규 방사광가속기 구축 추진

btn_textview.gif

?
과기정통부, 신규 방사광가속기 구축 추진
- 증대되는 첨단산업 R&D수요를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 전문가 선정평가위원회를 구성, 공정·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부지선정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3월 25일 추진계획을 확정하였고, 3월 27일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신규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 최근 전략 원천기술 경쟁력의 신속한 확보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고, 이와 더불어 첨단산업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은 대형 가속기 인프라의 확충 요구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
ㅇ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신규 방사광가속기 구축 추진 내용을 포함대형가속기 장기로드맵 및 운영전략을 마련하여, 지난 3월 24일 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확정한 바 있다.
?
※ 반도체?소재?바이오 등 다분야 지원이 가능하고 해외 최신 가속기에 대등한 성능을 보유한 신규 방사광가속기 구축
?
과학기술 혁신에 힘입어 핵심 산업분야로 부상한 반도체, 바이오, 에너지 등의 첨단산업에서 원천기술은 승자독식의 무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
※ ’19년도 세계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7개가 구글, 애플, 아마존, 텐센트 등 특허와 플랫폼 기반으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테크 자이언트(Tech Giant)”
?
해외 주요국들은 과거부터 가속기를 활용해 기초·원천연구를 선도해 왔으며, 최근에는 방사광가속기 인프라를 반도체, 신약 등 첨단산업에 활용하여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
※ 타미플루는 스탠퍼드大 방사광가속기(SSRL)를 활용한 단백질 구조분석의 성과
※ 대만의 세계적 반도체 기업 TSMC는 연간 1,000시간 이상 방사광가속기 빔라인 활용
국내에도 방사광가속기가 구축되어 연구개발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나,
?
ㅇ 현재의 한정된 인프라로는 계속 늘어나는 첨단산업 분야의 R&D지원 수요를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이다.
?
※ 국내 방사광가속기 활용 연구과제 기준 수요/공급 수용률은 70%(1.4:1)로 해외 주요국과 유사하나, 실험시간 요구 기준 수요/공급 수용률은 53%(1.9:1) 수준
?
□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과기정통부는 다양한 분야의 산업R&D를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를 신규 구축할 계획이다.
?
핵심 원천기술 자립화 지원의 시급성을 고려, 금년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여 늦어도 ’22년에는 사업에 착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에 앞서, 전국 광역시·도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공모를 통해 다목적 방사광가속기가 입지하게 될 부지를 선정하는 절차에 착수한다.
?
3월 27일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3월 말 지자체 대상 사업설명회를 거쳐, 약 1개월 기한으로 지자체의 유치계획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적인 선정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부지의 적합성을 포함하여 각 지자체의 유치계획에 대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진행하여 유치지역을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
ㅇ 구체적인 일정과 평가계획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와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누리집을 통해 공고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 최기영 장관은 “선정평가위원회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통해 사업의 성공적인 기초를 놓아주리라 기대한다.”면서, “우리나라의 첨단산업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사업으로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사업기획, 예타 등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