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솔브레인, 최고 수준의 고순도 불산(12N) 대량 생산능력 확보

btn_textview.gif


?


솔브레인, 최고 수준의 고순도 불산(12N) 대량 생산능력 확보

- 일본 수출규제 3대 품목 중 첫 국내 자립화 성과 가시화 -

- 성윤모 장관, 새해를 핵심소재 기업 현장에서 시작, 소부장 정책의지 밝혀 -

?


솔브레인은 화학 소재 전문기업으로, 일본 수출규제를 계기로 불산 공장 신증설을 조기에 완료하여 최고 수준의 고순도 불산(12 Nine)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였다.

?


* 12 Nine(99.9999999999%) : 용액에 Metal 등 불순물이 1조분의 1 남아있는 상태

* 디스플레이보다 상대적으로 고순도를 요구하는 반도체 기업에도 납품 가능한 수준

?


일본 수출규제 이전에는 우리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들이 주로 일본산 고순도 불산액을 사용하였으나,

?


- 솔브레인이 관련시설을 신?증설하여 생산물량을 확대하였고, 국내 불산액 수요의 상당부분을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불산액 대한 국내 공급안정성이 확보되었다.

?


이는 일본의 3대 품목 수출규제에 대응하여 우리 기업과 정부가 협력하여 이루어낸 첫 번째 국내 자립화 성과로 평가된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월 2일(목) 오후 충청남도 공주시 소재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기업인 솔브레인을 방문하였다.

?



?


【 현장방문 개요 】

?


?


?


? 일시/장소 : ’20.1.2(목) 15:00∼16:00 / 솔브레인 공주공장

?


? 참석자 : (산업부) 장관, 소재부품장비산업정책관 등

(솔브레인) 강병창 대표이사 등 임직원

?


? 내용 : 고순도 불산액 공급안정성 확보 등 솔브레인 성과 공유

소부장 정책 성과 제고를 위한 기업 현장애로 의견수렴 등

금번 성 장관의 현장방문은 일본의 7월 수출규제 이후 개별허가 대상인 3개 품목(불화수소, 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관련 기업으로는 처음으로서,(소부장 기업 현장 방문으로는 8번째)

?


고순도 불산액의 공급안정성 확보에 기여한 기업을 격려하고, 현장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기 위해 이뤄졌다.

?


성 장관은 “작년 7월 일본 수출규제 이후 민관이 힘을 합쳐 일본 수출규제에 적극 대응해 왔고, 솔브레인의 고순도 불산액 조기 생산능력 확충은 대표적 성과”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ㅇ “매우 높은 난이도의 정제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불산액 생산능력을 안정적으로 확충하기 위해 불철주야, 노심초사 지난해를 보냈을 솔브레인 임직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했으며,


ㅇ 강병창 대표도 “신?증설 공장이 조기 완공하고 가동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화학물질 관련 인허가 등 범정부적 적기 지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라면서 감사를 표했다.

?


* 취급시설 설치검사,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 등 조기 인허가 승인 지원

?


* 신?증설 공장의 안정적 가동을 위해 폐수처리장 증설 지원

?


성 장관은 작년에 “일본 수출규제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아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 나가고 있다”며서 작년도에 이뤄진 소부장 기업들과 정부 정책의 주요 성과도 언급하였다.

?


(국내생산능력 확충) 수입의존 품목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공장 신설후 가동을 시작하였으며, 소부장 국내투자 움직임도 활발

?



국내공장

신설

* 솔브레인, 불산 신증설 공장 완공

* A社, 불화수소가스 신규공장 완공

* B社, 불화폴리이미드 신규공장 완공

* C社, 블랭크마스크 신규공장 완공

국내 투자

* 효성, 탄소섬유 공장 증설에 ’28년까지 1조원 투자 발표(8.20)

* 현대모비스, 친환경자 부품공장 신설에 3천억원 투자 발표(8.28)

* 포스코케미칼, 이차전지 인조흑연 음극재 제조공장 신설에 2.5천억원 투자 발표(12.13)

(투자유치 등) 소부장 분야 해외기업의 국내 유치 및 해외 M&A 등 개방형 기술확보 사례도 확

?



해외기업 국내 유치

* M社, 실리콘웨이퍼 생산공장 준공식 개최(‘19.11월)

* 반도체 장비회사 L社 한국에 R&D센터 투자 확정(‘19. 11월)

* 해외 소부장 기업들의 한국 투자 관심 증가 등

해외기업 인수 등

* SK실트론, 美 듀폰 웨이퍼 사업부 인수 발표(9.10)

* 현대차, 美 앱티브 테크놀로지스(자율주행차 핵심기술 보유)와 JV 설립 발표(‘19.9월)

?


(국내 신규공급망 구축) 잠재력 있는 국내기업을 발굴하여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고자 하는 사례 증가 등 기업간 협력 움직임이 확산

?


* 정밀제어부품 A사는 日수출규제 이후 거래관계가 없었던 기업 124개사로부터 거래관련 연락이 왔으며, 실제 수주까지 이어진 기업은 27개사(Test-bed 연구기관 간담회, 11.6)

?


? (현장애로 해결) 정부는 지난해 7.22일부터 민관합동 소재부품 수급대응 지원센터를 통해 기업의 현장애로 해결을 원스톱으로 지원 중

?


* 화학물질 취급시설 인?허가 기간 단축(75일→30일), 특별연장근로 허용(12개 사업장, 1,275명)

* 총 1,567건의 자금애로 신청에 대해 긴급경영안정자금 1,000억원, 만기연장?신규대출 등 경영애로 유동성 공급 3조 1,503억원 등을 지원(12.12일 기준)

?


□ 성 장관은 “금년에도 솔브레인과 같은 소재?부품?장비기업이 든든하게 받쳐주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흔들리지 않는 산업강국’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ㅇ 이를 위해 정부는 전년 대비 2.5배 증가한 2.1조원의 대규모 투자 예산을 통해 100대 핵심전략품목을 중심으로 기술개발, 실증?양산 테스트베드 구축 등 개발부터 양산까지 전주기적 지원을 강화하고,

?


* ‘20년 소부장 예산 : ’19년(8,325억원) 대비 2.5배 증가한 2.1조원 투자

?


100대 특화선도기업, 수요-공급기업간 협력모델 확산 등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이끌어나갈 기업군을 키워나가며


투자펀드* 조성, 연구개발?시설투자에 세액공제 확대 등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생산?연구활동에 충분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


* 금융위 2,000+α억원, 중기부 1,000억원, 산업부 1,000억원 등 소부장 전용펀드 조성?운용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