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장애인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게임 보조기기 함께 개발한다!

btn_textview.gif

장애인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게임 보조기기 함께 개발한다!

- 국립재활원과 뇌병변장애인이 함께 하는 「같이게임, 가치게임」자조모임에서 게임보조 기기 개발 및 공유 -
 
□ 국립재활원(원장 이범석)은 “「같이게임, 가치게임」자조모임”을 통해 뇌병변장애인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 장애인 가족과 같이 적합한 게임을 찾아보고, 게임보조 기기를 함께 개발한다.

 ○ 게임 접근성이 확보된다면 장애인도 훨씬 편리하게 가족, 친구와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 게임접근성 (Game Accessibility) : 사용자가 장애의 유무에 관계없이 게임에 접근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


   - 기존 개발된 게임기(엑스박스,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스위치 등)에 장애인이 조이스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보조 기기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면 가능하다 (붙임 1 참조).

※ 장애인을 위한 게임보조 기기 : 기존의 게임기기, 게임콘텐츠를 장애인이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 기기 (개발·개조·제작·적용 포함)

 ○ 해외에서는 이미 장애인을 위한 게임접근성이 보장되어 장애인도 함께 게임을 하고 있다 (붙임 2 참조).

   - 특히 미국 크레이그병원(Craig Hospital)은 장애인과 함께 가장 적합한 게임 옵션과 게임보조 기기를 찾아준다.

   - 이번 자조모임에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서울경운학교의 송만호 교사는, “게임을 통해 게임보조 기기로도 활용되는 스위치(switch) 활용 능력이 향상되면 스위치를 통해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의사소통도 가능하며,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활용하여 집안 환경도 조정할 수 있으며, 전동휠체어도 혼자서 운전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 이번 자조모임에 참석한 뇌병변장애인들은 게임을 통해 삶의 질이 높아지고, 사람과의 관계도 좋아졌으며, 향후 경제활동을 하고 싶은 꿈도 생겼다고 말한다. (붙임 3 참조).

   - 자조모임 참석자 중 25세 이?배님은 게임을 통해 아버지와 함께 할 수 있는 즐길 거리를 찾았다. 자조모임을 통해 동료와 함께 게임을 즐기면서, 향후 게임채널을 운영하여 경제활동도 하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

   - 자조모임에 참석하는 21세 이?현님은 게임을 통해 운동 효과와 성취감, 삶의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0현님이 직접 자신이 게임하는 방법을 자조모임에서 강의하였는데, 이런 강의를 진행함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강사의 꿈을 가지게 되었다.

   - 자조모임에 참석하는 뇌병변장애인과 그 가족은 게임을 즐기기를 원하는 많은 장애인이 언제라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같이게임, 가치게임」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기를 원한다.

□ 이번에 실시하는 「같이게임, 가치게임」 프로젝트는 작년 12월에 공모받은 “보조기기가 필요한 생활 속 어려움 및 보조기기 맞춤 활용 사례” 총 45건 중 게임보조 기기 관련 수요 5건을 선정해 자조모임 형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 선정된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수요제안자인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해당 전문가, 국립재활원과 함께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열린 제작실에서 진행한다.

※ 보조기기 열린제작실 : 보건복지부 연구개발(R&D)사업인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20∼2023)』의 일환으로 노인·장애인 당사자와 전문가가 함께 보조기기를 개발할 수 있는 제작공간임. 상시 공모를 통해 선정된 보조기기 개발필요 사례에 대해 국립재활원 문제해결팀, 손수하기(DIY, Do It Yourself), 해커톤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보조기기 연구개발이 수행되며, 결과물인 보조기기 제작방법은 오픈 소스로 공유됨.


   - 이번 자조모임을 통해 개발되는 게임 활용가이드 및 게임 보조기기 사례는 향후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열린 페이지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공개되며 뇌병변장애인 이외의 다양한 장애인도 참여할 수 있도록 그 성과를 확충해나갈 예정이다

□ 아울러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공모는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의 사업 기간 내(∼2023년 12월)에 상시로 계속될 예정이다.

 ○ 공모 주제는 보조기기가 필요한 일상생활 속 어려움 사례를 제출하는 「“보조기기는 내가 만들게, 클릭은 누가할래?”」와 맞춤 활용 중인 보조기기 사례를 제출하는 「“요건 몰랐지? 나만 알고 있는 보조기기 맞춤 사용 비밀”」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 접수방법은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열린 페이지 누리집(홈페이지)에서 해당 주제의 설문란에 내용을 기재한 후 제출하면 된다.

      * 자세한 사항은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열린 페이지(http://www.at-rd.kr/idea) 참고
□ 국립재활원 이범석 원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외부활동과 신체활동이 줄어든 만큼 집에 머무르는 장애인도 누구나, 언제든지,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게임보조 기기와 그 활용사례를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장애인을 위한 게임보조기기
   2. 해외 장애인 게임 사례
   3. “같이게임, 가치게임” 자조모임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