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9 민간·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현황 발표

btn_textview.gif

2019 민간·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현황 발표
- 민간 82.0%, 공공 71.6% 개선 -
- 2020년까지 민간 90%, 공공 100% 개선 예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금융위원회(위원장 은성수)2019년 민간ㆍ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개선 현황을 발표하였다.
* 민간 500대 웹사이트(국내 인터넷트래픽의 약 83% 차지), 공공 2,728개 웹사이트
?
플러그인이란 웹 브라우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안, 결제 등의 부가기능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으로 액티브X, 실행파일(exe파일)이 있다.
?
ㅇ 정부는 편리한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을 위하여 민간 500대 웹사이트 액티브X 개선(과기정통부) 공공 분야 불필요한 플러그인 제거(행안부)국정과제로 지정하여 ’18년부터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 플러그인 개선 지원사업, 가이드라인 마련, 제도개선 등
?
□ 민ㆍ관이 협력하여 노력한 결과, ’17년 말 대비 민간 500대 웹사이트 설치 플러그인은 82.0% 감소(2,266개 → 408개), 공공 웹사이트 설치 플러그인71.6% 감소(3,889개 → 1,103개, 올해 말 기준)된 것으로 나타났다.
?
<민간·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이용 웹사이트 수, 잔존 플러그인 수>
구분
‘17년
‘18년
‘19년
민간
플러그인 이용 웹사이트 수
349
270
139
잔존 플러그인 수
(제거율, 누적)
2,266
800
(△64.7%)
408
(△82.0%)
공공
플러그인 이용 웹사이트 수
2,728
1,900
797
잔존 플러그인 수
(제거율, 누적)
3,889
2,672
(△31.3%)
1,103
(△71.6%)
?
민간 500대 웹사이트에 설치된 전체 플러그인액티브X는 82.3%(810개 → 143개), 실행파일81.8% 감소(1,456개 → 265개)하였다.
?
액티브X가 남아있는 사이트는 73개였으며, 액티브X는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실행파일은 남아있는 사이트77개로 나타났다.
?
?
잔존 액티브X는 대부분전자결제, 저작권 보호(무단배포, 불법복제 방지)등 웹사이트 이용과 관련한 중요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즉각적인 개선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
?
- 정부는 간편결제, 앱카드 등 대안서비스의 병행 제공을 통한 개선을 유도하고 있으며, 그간의 개선 노력으로 민간 500대 웹사이트의 72%노플러그인(플러그인제로) 웹사이트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공공 분야공공 웹사이트(정부24, 건강보험, 국민연금, 교통민원 등)에 대한 플러그인 제거 선도 사업 추진 등의 효과로 올해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
ㅇ 공공 분야 웹사이트는 공인인증서 방식 외에도 플러그인이 필요 없는 브라우저 인증서 방식을 병행 제공하여 인증서를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저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인증서 휴대에 따른 불편함과 분실 우려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
ㅇ 또한, 대체 기술이 없는 보안 관련 플러그인(키보드보안, 백신, 개인방화벽)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
□ 한편, 정부의 플러그인 개선 노력으로 실제 이용자가 체감하는 편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체감도 조사 결과,
* 2019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체감도 조사(1,147명 대상, 한국인터넷진흥원)
?
민간·공공 분야 모두 “과거에 비해 편리·매우편리”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여전히 불편·매우불편”하다고 응답한 비율보다 현저히 높았다.
?
<과거대비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체감도 조사 결과>
구분
매우편리
편리
보통
불편
매우불편
민간 웹사이트
10.1%
44.5%
36.6%
6.4%
2.3%
공공 웹사이트
8.2%
40.0%
38.8%
8.3%
4.7%
?
□ 정부는 민간·공공분야 플러그인 개선을 통한 이용자 편의 증진을 위하여 2020년에도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
?
민간분야액티브X가 남아있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쇼핑 등 생활 밀접 분야 웹사이트 대한 중점 지원을 통해 인터넷 이용 편의 체감도를 높일 계획이다.
?
?
- 금융 영역은 앱 하나로 이용하는 오픈뱅킹, 간편결제ㆍ송금 서비스 확대 등으로 편의성을 높이고,플러그인 개선 지속 추진 등을 통해 보안성도 함께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
공공분야는 2020년 797개* 공공 웹사이트의 플러그인을 모두 제거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 중앙부처(97개), 공공기관(252개), 지자체(288개), 교육청(105개), 지방공기업(55개)
?
민간 500대 웹사이트별 플러그인 현황 자료과기정통부(www.과기정통부.한국) HTML5 기술지원센터(www.koreahtml5.kr)에서, 공공분야의 플러그인 개선 웹사이트 목록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