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8월 장마 등 영향으로 높았던 농산물 가격, 9월 상순 이후 안정화 전망, 보도자료(9.3, 배포시…

btn_textview.gif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8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통계청, 9.2.)이후 추석 성수기를 앞두고 농산물 가격 급등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 기상이변 등 특이사항이 없다면 9월 상순을 지나면서 가격은 안정화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 8월 소비자물가 상승을 견인했던 농산물 가격 급등은 7~8월에 걸친 긴 장마 등으로 일조량이 부족해 공급이 감소했던 상추, 깻잎, 오이, 애호박 등 시설채소의 일시적 가격 급등이 주 원인이었으나
 ○ 장마 이후 출하량이 회복되면서 가격은 8월 중순 이후 하락세로 전환되고 있으며 점차 안정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도매가격 지수 : (3월)105.1 → (5)110.5 → (7)114.7 → (8.중)123.6 → (8.하)113.9
< 주요 시설채소 도매가 추이 >
   * 애호박 : (평년 8월) 17,235/20개, (8.상) 36,313 → (8.중) 55,436 → (8.하) 25,302
   * 청상추 : (평년 8월) 27,778원/4kg, (8.상) 56,682 → (8.중) 68,795 → (8.하) 30,503
   * 깻  잎 : (평년 8월) 15,782원/100속, (8.상) 35,505 → (8.중) 45,460 → (8.하) 34,989
   * 오  이 : (평년 8월) 56,808원/100개, (8.상) 50,633 → (8.중) 75,416 → (8.하) 78,961
□ 배추․무, 사과․배 등 주요 추석 성수품의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 현재 출하중인 배추는 강릉, 평창, 태백 등 해발 80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중이며, 비탈면이 대부분인 고랭지 특성상 물빠짐이 원활해 강우 등으로 인한 피해는 작으나,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가격은 다소 높은 편이다.
   * 고랭지 배추 : 재배면적 4,669ha(평년비 7%↓), 생산량 355천톤(평년비 10%↓)
   * 도매가격 : (7월) 3,474원/포기 → (8.상) 4,113 → (8.중) 5,701 → (8.하) 6,206(전년비 142%↑, 평년비 38%↑)
  - 고랭지배추의 특성상 산지 우천시 출하 작업이 어려워져 일시적으로 가격 등락이 발생할 수 있으나, 농식품부는 정부비축물량, 출하조절시설 비축물량, 채소가격안정제 운영* 등을 통해 수급을 안정화 시켜 나갈 계획이다.
   * 정부비축 3.2천톤(2.6천톤 방출), 출하조절물량 9월 1.5천톤, 채소가격안정제 37천톤
  - 전년보다 18일 정도 늦은 올해 추석을 겨냥해 정식한 물량 감안시 9월 중․하순 출하량은 평년수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어 추석 전에는 가격이 안정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출하량(천톤/평년비) : (9.상) 54(6.4%↓) → (9.중) 53(0.4%↓) → (9.하) 47(0.6%↑)
 ○ 무는 장마 이후 고온 등으로 작황이 나빠지면서 다소 높은 가격이 유지되고 있으나
     * 고랭지 무 : 재배면적 2,427ha(평년비 1%↓), 생산량 216천톤(평년비 5%↓)
  - 정부비축물량, 채소가격안정제 등*을 통해 수급상황을 관리중이며, 추석 성수기를 겨냥해 정식한 농가의 출하물량 감안시 9월 중․하순경에는 출하량이 평년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정부비축 1.5천톤(150톤 방출), 채소가격안정제 44천톤 등
    ** 출하량(천톤/평년비) : (9.상) 27(7.7%↓) → (9.중) 27(2.1%↓) → (9.하) 24(0.3%↑)
 ○ 사과․배는 재배면적* 감소, 4월 냉해, 잦은 강우로 인한 생육부진 등으로 생산량 감소가 전망되어 가격은 강세를 보이며, 태풍 피해 등으로 공급량 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으나
     * 재배면적 : 사과 31.6천ha(평년비 4.7%↓), 배 9.1천ha(평년비 15.7%↓)
  - 늦은 추석 영향으로 8~9월 주 출하품종(조․중생) 외에도 중생종(사과-홍옥, 양광 등, 배-신고) 숙기 확보가 가능하며, 과수 계약재배농가 조기 출하* 유도 등을 통해 명절(설․추석) 수요 대비 공급 여력**은 충분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년 과실수급안정 계약출하물량 : 사과(55천톤, 6,996농가), 배(43천톤, 2,620농가)
   ** 생산전망 / 추석·설 수요 : 사과 491천톤 / 115천톤, 배 162 / 110
□ 농식품부 권재한 유통소비정책관은 “배추․무 등 노지채소의 경우 태풍, 강우로 인한 산지 작업 여건에 따른 출하량 등락으로 가격변동성이 커지는 만큼, 정부비축물량 방출 등을 통해 공급이 안정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면서
  ○ “9월 7일경 우리나라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10호 태풍(하이선) 피해 최소화를 위해 그물망 설치, 가지묶기, 지주목 설치 등 피해 예방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 농협 등과 협력하여 태풍 이후 2차 피해 최소화를 위해 피해시설 철거․복구를 위한 긴급 전문인력 투입, 긴급방제 지도 및 약제 공급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