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온라인 자살유발정보, 국민이 직접 찾아내고 삭제한다!

btn_textview.gif

온라인 자살유발정보, 국민이 직접 찾아내고 삭제한다!
- 자살유발정보 집중클리닝 활동 결과 3만3486건 신고, 7,244건 삭제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경찰청(청장 김창룡),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백종우)는 온라인 생명존중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2020년 7월 6일(월)부터 17일(금)까지 ‘국민 참여 자살유발정보 집중클리닝 활동’을 진행한 결과, 총 3만3486건의 자살유발정보가 신고되었고, 그중 7,244건(21.6%)이 삭제되었다고 밝혔다.
    * 경찰청 누리캅스 11명, 중앙자살예방센터 지켜줌인 점검단(모니터링단) 92명 등 103명 참여
 ○ 자살유발정보 집중클리닝 활동은 2015년부터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2019년 7월 16일(화)부터는 개정 「자살예방법」 시행으로 온라인에서 자살유발정보*의 유통이 금지된 바 있다.
    * 자살동반자 모집, 구체적인 자살 방법 제시, 자살 실행·유도하는 내용을 담은 문서·사진·동영상, 자살위해물건의 판매·활용, 그 밖에 명백히 자살 유발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
□ 2020년 집중클리닝 활동 분석 결과, 정보 유형별로는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이 1만7046건(50.9%)으로 가장 많았고, △자살위해물건 판매․활용 7,165건(21.4%), △자살동반자 모집 4,907건(14.7%), △기타 자살유발정보 3,993건(11.9%), △자살방법 제공 375건(1.1%) 순이었다.
 ○ 신고처 유형별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2만7099건(80.9%)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사이트 3,989건(11.9%), △온라인 공동체(커뮤니티) 1,804건(5.4%), △포털 사이트 594건(1.8%) 순이었다.
   - 사회관계망서비스(SNS)별로는 트위터가 2만5013건(92.3%)으로 가장 많았고, △인스타그램 1,745건(6.4%), △기타 SNS 290건(1.1%), △페이스북 51건(0.2%) 순이었다.
 ○ 신고된 자살유발정보는 인터넷 사업자의 협조로 삭제되며, 긴급구조대상자*를 발견한 경우 112에 신고하여 대상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자살 의사 또는 계획을 표현한 사람, 자살동반자를 모집한 사람, 자살위해물건을 구매하거나 구매의사를 표현하는 등 자살을 실행할 것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사람
□ 보건복지부는 가장 적극적으로 자살유발정보를 발견․신고한 손태성 씨와 활동 수기 공모 대상 수상자인 최원준 씨에게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 집중클리닝 활동 우수자인 손태성 씨는 “실제로 자살을 생각하고, 시도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지 몰랐는데, 집중클리닝 활동을 통해 좌절감을 느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어서 뜻깊었다.”라고 말했다.
  ○ 또한 활동 수기 공모 대상 수상자인 최원준 씨는 “집중클리닝 활동을 통해 자살유발정보의 심각성과 현장 실무자들의 어려움이 어느 정도인지 체감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온라인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해 앞장서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 보건복지부 서일환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자살유발정보는 게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모방자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온라인상에서 자살유발정보를 발견할 경우 경찰(112)로 신고해 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했다.
□ 중앙자살예방센터 백종우 센터장은 “자살유발정보 집중클리닝 활동은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자살유발정보를 찾아내는 의미있는 활동으로, 온라인 생명존중문화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들께서도 자살유발정보의 차단을 위해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자살 관련 보도 시 상담전화 안내문 게재 요청 드립니다.
 
<상담전화 안내 문구>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살예방 전문 상담전화 1393 ’18.12.27. 개통

 
< 참고 > 1. 2020년 국민참여 자살유발정보 집중클리닝 활동 결과
2. 수기 공모 대상작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