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막힌 심장에 새길을 내는‘관상동맥우회술’ 우리 지역 우수병원은?

btn_textview.gif

막힌 심장에 새길을 내는‘관상동맥우회술’ 우리 지역 우수병원은?
- 5차 대비, 종합점수 0.7점 상승(93.5→94.2), 1등급 2개 기관 증가(64→66)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8월 26일(수) ‘관상동맥우회술* 6차 적정성평가’ 결과를 심사평가원 누리집 및 이동통신 앱(건강정보)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 관상동맥우회술: 관상동맥의 막힌 부위를 우회하여 막힌 혈관의 아래부위로 직접 혈액이 통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 주는 외과적 치료방법
   *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 및 건강정보 이동통신 응용프로그램(앱) > 병원⋅약국 > 병원평가정보 > 급성질환 > 관상동맥우회술
 
< 관상동맥우회술 6 적정성 평가 주요내용 >
 
·평가목적: 관상동맥우회술의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 감소
·평가대상
- (대상기간) ’187’196(입원 진료분)
- (대상환자) 허혈성 심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
- (대상기관) 종합병원급 이상 81기관(상급종합병원 39기관, 종합병원 42기관)
·주요 평가내용
- 관상동맥우회술 총 건수, 수술후 30일내 사망률, 퇴원 30일내 재입원율 등
·평가결과
- (종합점수) 전체 평균 94.2(5차 대비 0.7점 상승)
- (등급결과) 1등급 기관은 66기관(89.2%)으로 권역별로 분포
 
 
<권역별 1등급 의료기관 현황>
(단위: 기관, %)
구분
전국
서울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
전체*
74
24
21
3
3
5
18
-
1등급
66 (89.2)
22 (91.7)
20 (95.2)
3 (100.0)
2 (66.7)
4 (80.0)
15 (83.3)
-
* 종합점수가 산출된 기관(15등급) 대상
* 제주: 평가대상 2기관 모두 기준건수(3) 미만으로 등급제외 됨
 
 
 
 
□ 이번에 공개하는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 결과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종합병원 이상 81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 평가지표는 ▲(진료량)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건수 ▲(진료과정) 수술 시 내흉동맥 내흉동맥: 흉골 안쪽에 있는 동맥, 속가슴 동맥
 사용 비율, 퇴원 시 아스피린 처방률 ▲(진료결과) 수술 후 합병증(출혈,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 등 6개 지표이다.
  - (진료량) 관상동맥우회술 수술건수는 3,619건으로 5차 평가 대비 11건 감소했다.     * 4차 (3,505건)→ 5차 (3,630건)→ 6차 (3,619건)
  - (진료과정) 관상동맥우회술 후 환자의 장기 생존을 돕고 장기간 혈관유지가 가능하여 권장되고 있는 내흉동맥을 이용한 수술률은 99.5%, 퇴원 시 아스피린 처방률은 99.7%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진료결과) 수술 후 합병증(출혈,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은 2.2%,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은 12.1%로 5차 평가결과 보다 각각 0.2%p 감소했고,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은 3.4%로 0.3%p 증가했다.
□ 평가결과, 종합점수 전체 평균은 94.2점으로 5차 93.5점 대비 0.7점 향상됐고, 1등급 기관은 66기관으로 5차 64기관 대비 2기관 증가하여 우수한 기관이 더 많아졌다.
 
 ○ 전국 권역별로 1등급 기관이 분포했으나, 서울·경기 지역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권역별 1등급 의료기관 현황> (단위: 기관, %)
 
구분
전국
서울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
전체*
74
24
21
3
3
5
18
-
1등급
66
22
20
3
2
4
15
-
(비율)
(89.2)
(91.7)
(95.2)
(100.0)
(66.7)
(80.0)
(83.3)
-
 
 
 
 * 종합점수가 산출된 기관(1∼5등급) 대상
   * 제주권: 평가대상 2기관 모두 기준건수(3건) 미만으로 등급제외 됨
[권역별 1등급 의료기관 분포 현황] : < 그림 붙임 참조 >
□ 한편,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환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60대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평가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는 남성(2,775명, 76.7%)이 여성(844명, 23.3%)보다 약 3.3배 많아, 남성의 비중이 더 높아졌고(4차 2.7배, 5차 3.2배), 남성은 50대부터, 여성은 60대부터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에 특히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성·연령별 관상동맥우회술 실시 현황> :  그림 붙임 참조
 ○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환자 중 당뇨병 환자 3) 고혈압, 당뇨 환자 : 평가 조사표의 고혈압, 당뇨병 과거력 작성 기준
는 51.5%, 고혈압 환자
는 68%로 5차 대비 각각 4.5%p, 1.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흡연 등은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예방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 참고로,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2018년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 연도별 인구 10만 명 당 심장질환 원인 사망률(통계청, 2018년 사망원인통계) : 58.2명(’16년) → 60.2명(’17년) →62.4명(’18년)
로,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심질환자 수 및 진료비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도 2017년 27.8명에서 2018년 28.3명으로 0.5명 증가하였다.
     <허혈성 심질환 환자수 및 진료비 현황>                                        (단위: 천명, 십억원)
 
구분
’15
’16
’17
’18
’19
환자수
850
890
925
967
1,003
진료비
724
815
932
1,041
1,144
 
 

   주. 심사평가원, 진료년도 기준 의료기관의 허혈성 심질환(I20∼I25)이 주상병인 청구자료

< 그림 붙임 참조 >
 ○ 허혈성(虛血性) 심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해 생기는 질환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대표적이다.
 ○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통증 또는 가슴불편감이며, 조이거나 짓누르거나 쥐어짜는 듯한 명치부나 가슴 한가운데의 통증이 전형적이다.
 ○ 치료방법은 질병의 중증도나 복잡성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치료, 관상동맥우회술*,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등이 있다.
   * 관상동맥우회술: 관상동맥의 막힌 부위를 우회하여 막힌 혈관의 아래부위로 직접 혈액이 통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 주는 외과적 치료방법
   **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다리나 팔에 있는 동맥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관상동맥까지 삽입 후 막힌 부위에 풍선 확장술 또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
< 그림 붙임 참조 >

□ 보건복지부 정영기 보험평가과장은 “허혈성심질환 환자에게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우수기관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진료결과 등 의료 질 향상을 위해 요양기관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 국민들이 믿고 선택할 수 있는 요양기관이 증가하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 심사평가원 하구자 평가실장은 “국민들이 안전하고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평가를 지속하고, 평가결과가 낮은 의료기관은 질 향상 활동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1. 관상동맥우회술 6차 적정성 평가 결과
      2. 관상동맥우회술 6차 권역별 1등급 기관 분포 현황
      3. 병원평가정보 이용방법
      4. 심혈관질환 홍보 리플릿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