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실종아동을 가족의 품으로, 관심 모아 이룬 기적’ 제18회 실종아동의 날(5.24) 기념식 개최

btn_textview.gif


‘실종아동을 가족의 품으로, 관심 모아 이룬 기적’ 제18회 실종아동의 날(5.24) 기념식 개최

- 실종아동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과 관심 필요 -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경찰청(청장 윤희근)은 아동권리보장원(원장 정익중)과 함께 5월 24일(금) 오전 11시,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서울 중구 소재)에서 「제18회 실종아동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매년 5월 25일은 아동 등의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아동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과 국민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해 지정된 실종아동의 날로, 올해 18주년을 맞이하였다. 


   정부는 2005년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사업에 관한 법률(약칭: 실종아동법)⌋이 제정된 이후 아동의 실종 예방과 장기 실종아동의 조속한 발견을 위해 ▲실종경보 문자 안내 ▲지문 등 사전등록 ▲유전자(DNA) 분석 ▲복합인지기술*을 활용한 과거 사진 변환·대조사업 등 다양한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 얼굴 모습을 포함하여 변화하는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인식, 폐쇄회로를 통해 실종자의 동선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기술

 


 이러한 정부와 기관?단체들의 다양한 노력, 국민의 제보 등으로 최근 5년간 발생한 실종아동은 대다수가 실종신고 접수 이후 12개월 내 발견되고 가정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여전히 1년 이상 장기실종아동이 1,336명*이 있고, 이 가운데 20년 이상 장기실종아동은 1,044**명에 이른다. 

 * 실종아동 1,118명, 실종장애인(지적·자폐·정신) 218명 **실종아동 970명, 실종장애인(지적·자폐·정신) 74명

  보건복지부는 장기실종가족들이 바라는 ‘찾기정보’ 확대 차원에서 친생부모의 정보가 불분명한 입양인이 무연고아동으로 유전자 등록도 가능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유공자 포상식에서는 그간 실종아동 예방 홍보와 찾기 활동에 기여한 코레일유통 주식회사, 홍유진(호서대학교 부교수)님 등 20명(기관 포함)에게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고, 경찰청장 감사장을 5명에게 수여하였다.


  현수엽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실종아동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 실종아동 가족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찾기에 함께 해주시기 바란다”라며, “앞으로는 친생부모를 찾지 못한 입양인들도 실종아동 유전자 DB에 등록되도록 하여 입양인들의 친생부모 찾기에 도움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경찰청 김학관 생활안전교통국장은 “그동안 경찰은 사회 각계의 관심을 모아 실종아동이 무사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왔다”라며, “앞으로는 CCTV 자동추적 등 첨단 IT기술을 실종아동등의 수색과 추적에 접목하는 등 과학기술 중심의 수색·수사로 패러다임을 바꿔 실종아동이 무사히 돌아올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전하였다.

 

  아동권리보장원 정익중 원장은“실종아동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는 만남의 기적을 위해 실종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아동권리보장원은 앞으로도 실종아동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라고 하였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경찰청(청장 윤희근)은 아동권리보장원(원장 정익중)과 함께 5월 24일(금) 오전 11시, 앰버서더 서울 풀만 호텔(서울 중구 소재)에서 「제18회 실종아동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정부는 아동 등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아동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과 국민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하여 세계 실종아동의 날(5월 25일)에 맞추어 2007년부터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 실종아동등의 법 제3조의2에 따라, 매년 5월 25일을 실종아동의 날로 기념(실종아동등이란, 실종당시 18세이하 아동,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 치매환자를 뜻함)



〈‘실종아동의 날’ 유래〉

 ? 1979년 5월 25일 미국 뉴욕에서 Etan Patz(당시 6세)가 등교 중 유괴·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1983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만들어졌고,

    이후 캐나다와 유럽 등 전 세계가 동참하는 행사로 확대


 ? 한국은 2007년부터 5월 25일을 '한국 실종아동의 날'로 정하고 매년 행사를 개최하여 실종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환기



  기념식에는 현수엽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김학관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 서기원 사단법인 실종아동찾기협회장, 나주봉 전국미아·실종가족찾기 시민의 모임 대표 등 실종아동단체, 실종예방 및 발견에 이바지한 유공자 및 가족 등 140여 명이 참석하였다.


  유공자 포상식에서는 실종예방 및 발견에 이바지한 단체 및 유공자에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20명), 경찰청장 감사장(5명)을 수여하였다.


  코레일유통 주식회사는 2020년부터 유통이 직영하는 전국 편의점 POS단말기에 실종아동 정보를 송출하고 2024년 설 명절 주요역사에서 미아방지 팔찌와 아이행복키트를 증정하는 등 실종 예방 및 찾기 활동에 기여한 공이 인정되었다.

  

  홍유진(호서대학교 부교수)은 나이변환 기술 고도화를 통해 나이 변환 정확도를 개선하여 장기실종아동의 현재 모습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여한 공이 인정되었다.


   정부는  2005년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사업에 관한 법률(약칭: 실종아동법)⌋이 제정된 이후 아동의 실종 예방과 장기 실종아동의 조속한 발견을 위해 ▲실종경보 문자 안내 ▲지문 등 사전등록 ▲유전자(DNA) 분석 ▲복합인지기술*을 활용한 과거 사진 변환·대조사업 등 다양한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 얼굴 모습을 포함하여 변화하는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인식, 폐쇄회로를 통해 실종자의 동선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기술

 


 이러한 정부와 기관?단체들의 다양한 노력, 국민의 제보 등으로 최근 5년간 발생한 실종아동은 대다수가 실종신고 접수 이후 12개월 내 발견되고 가정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여전히 1년 이상 장기실종아동*이 1,336명이 있고, 이 가운데 20년 이상 장기실종아동은 1,044명**에 이른다. 

 * 실종아동 1,118명, 실종장애인(지적·자폐·정신) 218명 **실종아동 970명, 실종장애인(지적·자폐·정신) 74명


 실종아동의 조속한 가정복귀와 실종예방, 아동의 보호와 지원을 위해서는 부처 간, 중앙과 지방 간, 관계기관 간 역할 정립과 유기적 연계가 중요하다.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2025년부터 실종아동 연차보고서를 작성하고 제도개선사항을 발굴?논의할 계획이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종아동 업무가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각 아동과 장애인 등 업무 지침에 반영하고 담당자 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장기실종가족들이 바라는 ‘찾기정보’ 확대 차원에서 친생부모의 정보가 불분명한 입양인이 무연고아동으로 유전자 등록도 가능할 수 있도록 개선할 방침이다.

  현수엽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실종아동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 실종아동 가족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찾기에 함께 해주시기 바란다”라며, “앞으로는 친생부모를 찾지 못한 입양인들도 실종아동 유전자 DB에 등록되도록 하여 입양인들의 친생부모 찾기에 도움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경찰청 김학관 생활안전교통국장은 “그동안 경찰은 사회 각계의 관심을 모아 실종아동이 무사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왔다”라며, “앞으로는 CCTV 자동추적 등 첨단 IT기술을 실종아동등의 수색과 추적에 접목하는 등 과학기술 중심의 수색·수사로 패러다임을 바꿔 실종아동이 무사히 돌아올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전하였다.

 

  아동권리보장원 정익중 원장은“실종아동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는 만남의 기적을 위해 실종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아동권리보장원은 앞으로도 실종아동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라고 하였다.


  <붙임> 1.  제18회 실종아동의날 기념행사 개요 

            2.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및 경찰청장 감사장 수상자

            3.  행사 포스터

            4.  실종아동 관련 공공·민간 협력기관 현황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