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Culture

유세윤, 유민하 “그냥 이렇게 놀고 싶었어요”

?

20190925__롟뀬_귗뀯__꼱_ⓤ꼮___뗡뀼_됣뀰_뗡뀼___뗡뀼_녲뀿_メ꼺___뚡뀯_뚡뀫-_뗡뀿_メ꼸_α꼪__002.jpg

?

?

‘길게 쓰거나 짧게 써도 상관없지만 진짜 마음이어야 한다.’ 아들 유민하 군과 ?『오늘의 퀴즈』? 를 시작하면서 유세윤은 이렇게 당부했다. 하나뿐인 유민하 군의 주의사항과 달리 그가 지켜야 할 사항은 많았다. ‘창의적인 대답을 원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아이의 동의 없이는 공개하지 않는다’ 등 일곱 개의 주의사항을 보면서 오래 생각하고 신중히 단어를 고르던 유세윤의 모습이 떠올랐다.

?

둘만의 놀이였던 ?『오늘의 퀴즈』? 가 SBS <집사부일체>를 통해 세상에 알려진 후, 사람들은 ‘좋은 교육법’이라며 박수를 보냈지만 유세윤은 ‘교육이 아닌 놀이’라고 강조했다. ‘모든 부모가 읽어야 할 책’이라는 상찬 앞에서는 “아이가 하자는 걸 그냥 하면 된다”고 무심히 답했다. 굳어 있는 아들과 그런 아들을 보고 당황할 스텝을 동시에 살피며 “카메라 앞에서 말하는 게 쉽지 않거든요”라고 말하던 15년 차 방송인 유세윤. 공동 저자로 아들과 함께 하는 인터뷰에서 그는 입담과 재치를 뽐내던 화면 속 모습과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다.

?

‘놀이가 최고의 교육이다’라는 말은 참 별로다.

놀이가 교육에 도움이 될 거 같아서 너랑 놀아 준 거였다고 생각해 봐.

뭔가 속는 느낌 아니냐.

?

- 『 오늘의 퀴즈』? 중에서

?

?

?

800x0.jpg

?????????????????????????????????????????????????????? da37592b497061ee62b1b603369a0e4a.jpg


?

생각나는 대로 던진 질문들

?

아들과 책을 내셨어요. 흔치 않은 경험인데 소감이 어떠신가요?


행복한 일이죠. 둘의 일상과 마음이 담긴 책이잖아요. 책이 얼마나 많이 팔리는지와 상관없이 공동 저자가 되어 책을 냈다는 사실 자체가 굉장히 행복해요.

?

민하 저자님은 기분이 어떤가요?

유민하 : 좋아요.

?

책의 배경에 대해 더 듣고 싶어요. 일기 쓰기를 싫어하는 아들을 위해 퀴즈를 내기 시작하셨다고요.


맞아요. 그런데 민하 앞에서 이런 이야기를 하기가 조심스러워요. 민하가 ‘나랑 놀려고 시작한 게 아니라 일기 대신이었어요?’라고 생각할까 봐요. 책을 낸 후에 이런 이야기를 듣고서는 약간 실망하는 것 같더라고요. 처음에 그렇게 시작한 건 맞지만, 지금은 그냥 재미있어서 하는 거라고 말해 줘요.

?

주로 언제 퀴즈를 내셨어요?


민하가 학교 마치고 태권도 배우고 집에 왔을 즈음에 냈어요. 퀴즈를 보고 안 풀 때도 있었고, 못 보고 지나갈 때도 있었는데 꼭 하라고 강요하지는 않았어요. 그러면 원래 취지에서 멀어질 것 같아서요.?

?

퀴즈를 내려면 아이디어가 필요하잖아요.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으셨나요?


일단 제가 궁금해하는 것들을 많이 물어봤고요. 민하의 일상에 관한 내용도 많이 물어봤어요. 예를 들어서 ‘친구가 화났을 때 화를 풀어주는 방법’은 제가 궁금하기도 했고 민하가 친구랑 다퉜을 때 어떻게 화해하는지 알고 싶어서 낸 퀴즈였어요. 당시에 자연스럽게 떠오르거나 생각나는 것들을 냈고 창의적이고 대단한 질문을 내려고 일부러 노력하지는 않았어요.

?

어린 시절이 많이 생각났을 것 같아요.


많이 생각났죠. 어렸을 때 제가 생각한 것들과 비슷한 답도 있었고, ‘나도 이런 질문에 이렇게 답을 했을까?’ 하는 생각도 많이 했어요.

?

어떤 어린이였나요?


민하랑 비슷해요. 재미있게 지내고 싶고 신나게 놀고 싶은 어린이였고 사람들한테 주목받는 걸 쑥스러워했던 것 같아요.

?

지금은 주목받는 삶을 살고 계시잖아요.


어느 지점에서 바뀌었는지 모르겠는데 어렸을 때는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게 온전히 내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것 같아요. 내가 얻어낸 주목이 아니라 부모님이 만들어낸 주목이랄까요. 아니면 내가 워낙 이상하니까 사람들이 날 보면서 재미를 느낀다고 생각했죠.

?

?

20190925__롟뀬_귗뀯__꼱_ⓤ꼮___뗡뀼_됣뀰_뗡뀼___뗡뀼_녲뀿_メ꼺___뚡뀯_뚡뀫-_뗡뀿_メ꼸_α꼪___15A5954.jpg

?

?

아빠도 틀릴 수 있다

?

“만약 당신이 여자라면 무엇이 되고 싶습니까?”(226쪽)라고 묻고 다음 장에서 “최악의 질문”(227쪽)이라고 하셨더라고요. 그런데도 책에서 빼지 않으셨고요.


민하가 “수학자”라고 답했는데 결과적으로 성별과 관계없이 똑같은 답을 쓴 거예요. 원래 민하가 수학, 태권도에 관심이 있거든요. 답을 보자마자 ‘내가 왜 이런 질문을 했지?’라고 생각했어요. 스스로가 한심하더라고요. 그런데 아이들에게 이런 과정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부모가 그동안 잘못 생각하고 있던 것들을 뉘우치고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요. 아빠의 생각이 다 옳은 건 아니고 잘못된 생각도 있지만 누군가가 이렇게 가르쳐 주면 배울 수 있다는 걸 말해주고 싶었나 봐요.

?

유민하 : 아빠 지금 생각했죠?

?

유세윤 : 응 맞아. 조금 멋있게 얘기하려고 그러다가……딱 걸렸네? (웃음)

?

질문이 무색한 답을 하셨네요.


그런 답들을 되게 많이 줘요.

?

또 뭐가 있을까요?


“허무함이란 무엇입니까?”(38쪽) 라는 질문에 “허무함은 허무함입니다”라고 적었더라고요. 저한테 허무함을 느껴보라고……(웃음)

?

“만약 내일부터 말을 못 하게 된다면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무엇입니까?”(192쪽)처럼 ‘마지막’에 관한 퀴즈가 많더라고요.


아, 그렇네요. 무엇이든지 끝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잘 모르겠지만, 언제 올지 모르는 끝과 이별에 대해서 의식하고 있나 봐요. 그래서 하루하루 더 재미있게 놀려고 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

민하 저자에게 마지막으로 퀴즈를 낼 수 있다면요?


너무 어려운 질문인데요. 음…….생각해 봐야 할 것 같아요.

?

혹시 민하 저자에게 ‘이것만은 꼭 했으면 좋겠다’ 싶은 게 있을까요?


봉사활동이요. 저는 많이 못 했지만, 민하는 많이 다녀봤으면 좋겠어요. 저는 이제야 조금 나누는 기쁨을 알기 시작했는데 민하는 조금 더 일찍 이런 기쁨을 알았으면 좋겠어요.

?

민하 저자 친구들에게도 책을 선물했나요?


유세윤 : 민하 뜻에 맡겼어요. 민하가 필요한 수량만큼 달라고 하면…. 누구한테 선물했지?

?

유민하 : 친구한테 선물한 건 한 권이고요. 사범님하고 선생님께도 드렸어요.

?

?

20190925__롟뀬_귗뀯__꼱_ⓤ꼮___뗡뀼_됣뀰_뗡뀼___뗡뀼_녲뀿_メ꼺___뚡뀯_뚡뀫-_뗡뀿_メ꼸_α꼪___15A6020.jpg

?

?

‘그럴 수도 있겠다’는 말

?

‘의외의 모습이다’라는 반응도 있어요.


그렇죠. 저에 대한 어떤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으니까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요. 어쩌면 의외도 아니고 가면을 썼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요. 저조차도 어떤 인물에 대해서 그렇게 생각할 때가 있으니.. 그럴 수도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

인스타그램 프로필이 ‘아그럴수도있겠당’이잖아요. 전작인 ?『겉, 짓, 말』 에서도 이 말이 언급되고, 광고회사 ‘쿠드비’의 이름도 여기서 비롯됐다고 들었어요. 중요한 말인 것 같더라고요.


고민과 부침이 많은 시기가 있었는데 어떤 현상이나 고민의 끝은 결국 받아들임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다름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다 풀리지 않는 것 같아서 ‘그럴 수도 있겠다’고 마음먹었고, 이렇게 마음을 바꾸니까 정말 많이 달라지더라고요.

?

이런 생각을 언제부터 하신 건가요?


특별한 계기가 생각나지는 않고요. 제가 가진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오갈 때 이런 마음이 생겼던 것 같아요. ‘왜 이렇게 생각하지’에서 ‘아,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다’로 이동한 거죠. 언젠가 동엽이 형이 제일 괴로운 게 사회에 삐지는 거라고 한 적이 있는데 이 말이 굉장히 와닿았어요. 내가 사회에 조금 삐져있었나보다 싶더라고요. 철이 없었고, 멘탈이 건강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

어떤 지점에서 그렇게 느끼셨는지 궁금해요.


최근에 ?『인간 본성의 법칙』? 이라는 책을 조금 읽기 시작했는데 이성과 비이성의 이야기가 나와요. 이성은 기수고 비이성은 말이라고 하더라고요. 기수인 이성이 비이성인 말을 얼마나 잘 다루느냐에 따라 삶이라는 경기를 다르게 운영할 수 있다고요. 그런데 저는 아예 기수가 없었던 것 같아요. 예전 모습을 보면…. 이래서 사람이 책을 읽어야 하나보다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 그렇구나’ 싶었어요.

?

개그를 짤 때 중시하는 게 있나요?


이 개그가 누군가를 아프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예전에는 그런 걸 많이 놓쳤어요. 과거에는 ‘재미있어하는 사람이 있으면 불쾌해하는 사람도 있는 거고 다 취향 차이지’라고 생각했어요. ‘이런 거 때문에 내 창의성이 막혀야 해?’라고 싶기도 했고요. 지금은 ‘아, 그럴 수도 있겠다’, ‘아팠을 수 있겠다’ 싶어요. 그냥 불쾌하고 불편했던 게 아니라 진심으로 아팠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니까 요즘에는 덜 재밌어도 누구도 아프지 않은 콘텐츠였음 좋겠더라고요.

?

요즘에는 유튜브를 안 하기 힘든 시대잖아요. 유튜브에서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한테는 굉장히 좋은 기회죠. 개인적으로 부담 없이 하는 편이고요. 좋은 세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무언가로 인정받고 수입도 만들 수 있는 세상이잖아요. 유튜브 체계 자체는 되게 잘 만들었다고 생각해요.

?

유튜브하시잖아요. 개인적으로 하시나요 아니면 소속에서 팀을 짜서 하시나요?


개인적으로요.

?

?

20190925__롟뀬_귗뀯__꼱_ⓤ꼮___뗡뀼_됣뀰_뗡뀼___뗡뀼_녲뀿_メ꼺___뚡뀯_뚡뀫-_뗡뀿_メ꼸_α꼪___15A5898.jpg


?

아이들이 다 알거든요

?

출간 제의를 받고 어떠셨나요? 바로 수락하셨나요?


처음에는 육아법, 창의력 키우기 같은 방향의 책을 제안하셨어요. 부담스럽더라고요. 제가 말하는 게 정답은 아니니까 그건 부담스럽다고 말씀드렸죠. 다만 만약? 『오늘의 퀴즈』? 라를 소스를 가지고 에세이를 낼 수 있다면 그건 하고 싶다고 했어요. 사실 이 책이 매출에는 별로 도움이 안 되는 형식이잖아요. 띠지에도 자극적인 카피, 이를테면 ‘집사부일체에서 극찬한….’ 이런 문구가 있으면 파는 데 더 도움이 되겠지만, 그게 자신에게 떳떳한지 모르겠더라고요. 무엇보다 민하가 이게 순수한 놀이가 아니라 다른 목적이 있었던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싶었고요.

?

책을 본 촬영 감독님께서 『오늘의 퀴즈』? 를 보고 ‘아빠들의 필독서’라고 하시더라고요.


사실… 아이가 하자는 걸 그냥 하면 되는데 부모들이 그렇게 못하는 것 같아요. “배틀그라운드 해요” 하면 같이 하면 되는데 “아니야 그건 폭력적이니까 우리 공놀이할까?” 하는 식으로 조금이라도 본인이 편하거나 교육적인 방향으로 트는 거죠. 그런데 아이들이 그걸 알거든요. 그리고 같이 노는 게 정말 좋은 게…. 저도 민하가 하고 싶어 하는 걸 같이 하면서부터 민하랑 친해졌거든요. 게임을 하자고 하면 게임하고, ‘물 뿌리기’ 하자고 하면 한겨울에 밖에 나가서 둘이 낄낄거리면서 물 뿌리고 놀았어요. 이렇게 하니까 아이가 말을 하더라고요. 같이 놀면 그냥 놀기만 하는 게 아니라 대화를 하게 돼요. “아빠 있잖아요. 오늘 학교에서~~” 이러면서 게임과는 상관없는 이야기를 술술 하는 거죠. 그런데 그냥 아이를 붙들고 “오늘 학교에서 무슨 일 있었어?”라고 하면 “네? 좋았어요~~`”라고 하고 끝이에요. 절대 말 안 하죠.

?

자기 전에 같이 이야기하는 것도 인상적이었어요.


그것도 실은 민하가 자꾸 잠자리에 안 들려고 하니까 “11시 전에 자리에 누우면 재미있는 얘기를 해주겠다”고 하면서 시작한 거예요. 제가 먼저 저의 이야기를 하니까 아이도 자연스럽게 자기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

보통 재밌는 이야기를 세 개 정도 해주고 잠이 드는데 얘기가 민하의 성에 차지 않으면 “이건 개수로 안 칠게요”라고 아주 친절히 말해 준다. (웃을랑 말랑 정도.) 가끔은 민하의 이야기도 듣는다. 오늘은 지금까지 있었던 일 중에 가장 황당했던 이야기를 할까? 내가 세 개 해줄게. 넌 하나만 해줘. 나는 아이와 함께 천장을 바라보고 그제서야 내가 몰랐던 내 아들을 알기 시작했다. (148쪽)

?

책을 내고 나서 대중들이 실체보다 나를 좋게 보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은 없으세요?


저보다는 민하에 대한 걱정인데요. 책을 보신 분들이 ‘아 이런 식으로 자라면 분명 훌륭한 어른이 될 거야’ 또는 “정말 창의력이 넘치는 어른이 될 거야’라고 생각하실지 몰라요. 하지만 이 아이도 평범하게 자랄 거고 무수히 많은 잘못을 하고 반성도 하면서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어떤 어른이 될 텐데… 어떤 경우든 비춰보겠죠. 어떤 일을 인과관계로 보려는 경향이 있잖아요. ‘이렇게 교육했지만 저렇게 자랐구나’ 혹은 ‘저런 일이 있구나’하는 식의 생각을 할까 봐 우려되지만, 그 우려 자체도 ‘그럴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해요. 나조차도 그렇게 생각할 테니까요. 다만 민하가 그런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얘기를 많이 해주려고 하죠. “꼭 창의력 넘치고 훌륭한 아이로 커야 할 필요가 없다”고요.

?

20년 후에 두 분은 어떤 모습일까요?


유세윤 : 너는 왠지 여행 가 있을 것 같아. 나 안 데리고… (웃음)

?

유민하 : 아빠는 칠순 잔치 기대하고 있을 것 같아요.

?

『오늘의 퀴즈』? 가 언제까지 계속될까요?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유세윤 : 민하가 ‘아빠 이제 그만 해요’라고 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안 오면 좋겠지만, 그런 날이 온다면 더 재미있는 걸 생각해 봐야죠.

?

유민하 : 대학교 때까지!

?

유세윤 : 오 진짜?

?

아이한테는 바라는 점이 있다면요?


누구나 존재 이유를 고민하는 시기가 오잖아요. 그럴 때 기억나세요? 처음으로 ‘난 왜 태어난 거지?’, ‘나는 왜 존재하는 거지?’ 하고 생각했던 시기요. 저는 언제였는지 잘 기억이 안 나는데 그런 의문이 들었을 때부터 삶이 괴로웠던 것 같아요. 지금은 민하가 그냥 “밥 주세요” 또는 “게임해도 돼요?”라고 하는 게 전부인데 물음표가 없는 이런 시기가 오래갔으면 좋겠어요. 언젠가는 고민하게 되겠지만요.

?

이 책을 독자들이 어떻게 읽으면 좋을까요?


가장 강조하고 싶은 건 이 책은 절대 육아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는 거예요. 아빠로서 느낀 점들을 일기처럼 적어놓은 책일 뿐이고 거기에 민하의 생각도 적혀 있죠. 공감할 수 있는 부분들은 공감하셨으면 좋겠고 공감이 안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굳이 공감하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환경이나 생각이 다를 수 있으니. 그냥 이런 삶도 있고 이런 기록도 있구나고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이런 걸 공유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기분 좋은 일이고 읽으시는 분들이 공감하는 지점이 있다면 더 기분 좋은 일이고요.


?

77986442?

오늘의 퀴즈유세윤, 유민하 저 | 미메시스
4학년 때(현재 아들과 같은 나이)의 일기를 보고, 그때 자신의 마음과 추억을 기분 좋고 재미있게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을까, 아들에게 해줄 수 있는 나만의 콘텐츠는 무엇일까 생각하기 시작했다.

da37592b497061ee62b1b603369a0e4a.jpg


?

?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


추천기사
  • 채널예스 기사 제목 [커버 스토리] 은희경, 자신도 오해할 수 있다
  • 채널예스 기사 제목 박창근 “포크는 제게 자신감 있는 음악”
  • 채널예스 기사 제목 김은령 편집장 “책에 관한 책은 무조건 사요”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